


다중이용시설의 연면적(m2) | 최소 시료채취지점 수 |
---|---|
10,000 이하 | 2지점 |
10,000 초과 ∼ 20,000 이하 | 3지점 |
20,000 초과 | 4지점 |
※ 시료채취위치 (예)
대상시설 | 시료채취위치의 예 | 비고 |
---|---|---|
지하역사 | 승강장, 대합실, 연결통로 등 | 환승역사의 경우 점포가 있는 연결통로 |
지하도 상가 | 주 보행공간 등 | |
여객자동차 터미널 대합실,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, 철도역사의 대합실 |
대합실, 승강장 등 |
승강장이 외기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, 대합실만 해당 |
도서관 | 주 열람실, 개방형 서고 등 | |
박물관 및 미술관 | 주 관람 및 전시실 등 | |
대규모 점포 | 층별 주요 활용공간 | 지하층이 있는 경우, 지하층 1개 지점 포함 |
장례식장 | 로비 등 주요 활용공간 | |
목욕장 | 휴식공간, 로비 등 | |
의료기관 | 로비, 대기공간 등 | |
어린이집 및 실내어린이 놀이시설 | 보육실, 놀이공간, 식당, 로비 등 | |
노인요양시설 | 침실, 휴식공간, 식당, 강당, 로비 등 | |
산후조리원 | 로비, 대기공간 등 | |
실내주차장 | 층별 주차공간 및 여유공간 | 지하층이 있는 경우, 지하층 1개 지점 포함 |
영화상영관 | 상영관, 대합실 등 | |
학원 | 강의실, 로비 등 | |
전시시설 | 주 관람실 및 전시실 등 | |
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 제공 영업시설 |
주요 활동 공간 | |
실내 체육시설 | 주요 활동 공간 | |
실내공연장, 업무시설, 둘 이상의 용도에 사용되는 건축물 |
관객석, 대기공간 등 주요 활동 공간 | 시설 구조특성 및 용도가 달라서 실내공기질이 명확히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, 측정지점을 추가로 선정 |
실내공기오염물질 | 시료채취시간 | 횟수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휘발성유기화합물 | 30분 | 연속 2회 | 30분/1회씩 연속 2회 측정 |
폼알데하이드 | 30분 | 연속 2회 | 30분/1회씩 연속 2회 측정 |
미세먼지(PM2.5, PM10) | 24시간 이상 | 1회 | 24시간 |
일산화탄소 | 1시간 | 1회 | - |
이산화탄소 | 1시간 | 1회 | - |
이산화질소 | 1시간 | 1회 | - |
라돈 | 측정방법에 따라 다름 | 1회 |
단기측정(2일 이상∼90일 이하)과 장기측정(90일 이상)으로 구분 |
총부유세균 | 총 시료채취량 250 L 이하 | 3회 | 시료채취간격 20분 이상 |
부유곰팡이 | 총시료채취량 약 50~200리터 | 3회 | 시료채취간격 20분 |
오염물질 | 측정법 | 특징 |
---|---|---|
미세먼지,초미세먼지 (PM-10,PM-2.5) |
중량법 |
|
이산화탄소 (CO2) |
비분산적외선법 |
|
폼알데하이드 (HCHO) |
2,4 DNPH 카트리지와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 |
|
부유세균 | 충돌법 |
|
곰팡이 | 충돌법 |
|
일산화탄소 (CO) |
비분산적외선법 |
|
이산화질소 (NO2) |
화학발광법 |
|
라돈 (Rn) |
알파비적검출법 |
|
휘발성유기화합물 (TVOC) |
고체흡착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 (MS/FID) |
|
※ 2,4 DNPH : 2,4-다이나이트로페닐하이드라진
※ 시료채취세대 수(예)
총 세대주 | 100 ~ 199 | 200 ~ 299 | 300 ~ 399 |
---|---|---|---|
시료채취 세대 수 | 3세대 | 4세대 | 5세대 |
오염물질 | 측정법 | 특징 |
---|---|---|
폼알데하이드 (HCHO) |
2,4 DNPH 카트리지와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 |
|
벤젠, 톨루엔 에틸벤젠, 자일렌, 스티렌 |
고체흡착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 (MS/FID) |
|
라돈 | 연속측정방법 |
|
대중교통차량 | 시료측정의 수 | 시료측정의 위치 |
---|---|---|
도시철도 | 1편성 당 1 지점 이상 |
객차 내 중앙부 좌석 선반위 (선반이 없는 경우에는 중앙부 좌석에서 1m~1.5m 높이) |
철도 | 1편성 당 1지점 이상 | |
시외버스 | 1차량당 1지점 이상 |
항목 | 측정방법 | 측정방식 | 횟수 |
---|---|---|---|
이산화탄소(CO2) | 각 노선의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정상운행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실시 | 비분산적외선법(NDIR) |
연속1회 (5분 간격 데이터 수집) |
초미세먼지(PM-2.5) | 광산란법 |
연속1회 (1분 간격 데이터 수집) |
|
중량분석법 |
1회 (2시간 이상 채취) |